문화이야기

콘센트(콘센트, consent)’라는 단어

역동 뜰의 속삭임 2025. 3. 2. 14:00
반응형

 

콘센트라는 단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콘센트(콘센트, consent)’라는 단어는 사실 일본식 영어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한국어에서 콘센트는 벽에 설치된 전기 소켓을 의미하지만, 영어에서 consent동의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가 전기 소켓을 콘센트라고 부르게 되었을까?

 

일본에서 온 콘센트

콘센트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유래했다. 일본은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영어 단어를 자신들의 언어에 맞게 변형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기 소켓을 의미하는 원래 영어 단어는 outlet이나 socket이지만, 일본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전기 제품 연결 단자를 콘센트(consent)’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 배경에는 당시 일본에서 사용되던 전기 기기 관련 용어가 있었다. 일본은 서양에서 전기 기술을 받아들이면서 접속을 의미하는 단어로 concentric plug라는 영어 표현을 접했다. 이 표현에서 ‘concen-’ 부분이 일본식 영어로 변형되면서 콘센트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 원래 의미와 다소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이를 전기 소켓을 의미하는 단어로 굳혀 사용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정착한 콘센트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전기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콘센트라는 단어도 함께 받아들였다. 일본식 영어가 한국어에 영향을 준 사례는 핸들(steering wheel)’, ‘빠꾸(reverse)’, ‘(게임)’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콘센트역시 이러한 과정에서 정착된 단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콘센트라는 단어가 널리 사용되면서도, 전기 소켓을 의미하는 순수한 한국어 단어인 전기 접속구전원 소켓같은 표현은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았다. 현재까지도 콘센트라는 표현이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콘센트라는 단어를 특정한 개인이 창조했다고 보기보다는, 일본에서 변형된 영어 표현이 한국으로 유입되면서 정착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도 영어권에서는 콘센트(consent)’라는 단어를 전기 소켓의 의미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국에서 콘센트라고 하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비록 어원적으로는 다소 어색한 표현일지라도, 이미 한국어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만큼 콘센트는 하나의 고유한 단어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공식적인 문서나 국제적인 환경에서는 전원 소켓(outlet 또는 socket)’이라는 표현을 함께 익혀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역동 뜰의 속삭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