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해외직구로 와인 샀더니 세금 폭탄?!

역동 뜰의 속삭임 2025. 4. 14. 20:00
반응형

 

술 직구할 땐 세금 계산부터!


요즘 해외직구로 와인이나 위스키 구입하시는 분들 많죠?
현지보다 저렴하고 희귀한 술까지 구할 수 있어서 인기인데요,
무작정 샀다간 '세금 폭탄' 맞을 수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주류 해외직구, 세금이 왜 이렇게 많아?

술을 해외에서 들여오면 무려 5가지 세금이 붙습니다.
단순히 ‘얼마 곱하기 몇 %’가 아니라, 복잡한 계산 구조가 숨어 있어요.

✔ 기본적으로 붙는 세금 3가지

세금 종류 설명

관세 해외 물건을 국내로 들일 때 붙는 세금 (보통 15%)
개별소비세 술, 담배처럼 특정 사치품에 붙는 세금
부가가치세 (VAT) 모든 물건에 기본적으로 붙는 10% 세금

그 외에도
교육세 (개별소비세의 30%)
주세 (도수나 종류에 따라 다름)
이렇게 총 5단계 세금이 붙습니다.


🧮 실전 계산! 세금 얼마나 나올까?

💡 예시: 200달러짜리 와인 1.5L 직구할 경우

  1. 관세 (15%)
     200달러 × 15% = 30달러
  2. 개별소비세
     와인 기준 1L당 1,000원 → 1.5L = 1,500원 (약 1.5달러)
  3. 교육세 (개별소비세의 30%)
     1.5달러 × 30% = 0.45달러
  4. 주세 (와인: 10%)
     200달러 × 10% = 20달러
  5. 부가가치세 (10%)
     (200 + 30 + 1.5 + 0.45 + 20) × 10% = 25.6달러

💸 최종 세금 = 약 77.55달러

즉,
200달러짜리 와인을 사도 총 278달러를 내야 합니다!


🧞 세금 피하는 마법은 없을까?

완전히 없는 건 아니고,
‘면세 기준’을 잘 활용하면 세금을 0원으로 만들 수도 있어요.

✅ 주류 면세 기준 요약

조건 면세 여부

1병 이하 & 1리터 이하 & $150 이하 세금 면제!
1.1리터 이상 or $150 초과 전 세금 부과

⚠ 와인이 아무리 싸도, 2병 사면 합산과세로 세금 붙어요!


💡 와인·위스키 직구 꿀팁 모음

🔹 1병만 사자: 여러 병 사면 세금 폭탄
🔹 1L 이하로 고르자: 용량이 면세 기준임
🔹 가격은 $150 아래로: 딱 맞춰야 면세
🔹 여러 번 나눠 사기 (주의): 같은 날 배송되면 합산될 수 있어요
🔹 주세 비싼 증류주(위스키)는 더 신중하게!


🔎 술 직구 세금 정리 한눈에 보기

구분 와인 (예: 200달러/1.5L) 위스키 (예: 200달러/1L)

관세 30달러 (15%) 30달러 (15%)
개별소비세 1.5달러 약 5달러
교육세 0.45달러 약 1.5달러
주세 20달러 (10%) 144달러 (72%)❗
부가세 약 25.6달러 약 30.5달러
총 세금 77.55달러 210.95달러

위스키는 세금이 원가의 100% 이상일 수 있어요.
정말 신중하게 사야 합니다.


✨ 꿀팁

해외에서 술 살 땐,
단순히 ‘싸다’고 사는 건 절대 금물!
📝 가격, 용량, 세금 계산 꼼꼼하게 따져보고
‘진짜 이득’인지 따져보는 게 스마트한 소비예요.

 

 

🎮✨ 역동 뜰의 속삭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