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할머니 찬스' 쓰는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이유

역동 뜰의 속삭임 2025. 4. 8. 17:00
반응형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하루는 어떻게 전개될 것 같습니까? 아침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일부터 출근시간과 맞추어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퇴근 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퇴근 후 집에 도착하는 시간이 7시 반. 이 시간은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긴 부모들에게는 너무 늦은 시간입니다. 퇴근 후에 곧장 집으로 향해도 저녁 준비, 씻기기, 잠자리 준비까지 모든 것이 빠듯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부모들은 ‘할머니 찬스’를 쓸 수밖에 없습니다.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현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면서 자녀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내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린이집 운영 시간과 부모의 근무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어린이집은 오후 4~6시 사이에 기본 돌봄이 끝나고, 맞벌이 가정을 위해 연장 보육이 제공되더라도 오후 7시 전후가 한계입니다. 하지만 대다수 직장인은 그보다 늦게 퇴근하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집만으로는 육아 공백을 메울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할머니나 할아버지에게 아이를 맡기는 ‘할머니 찬스’는 맞벌이 부모들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 조부모가 아이를 돌봐주면 부모들은 조금이라도 여유를 가질 수 있고, 아이 또한 혼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조부모의 희생이 요구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조부모 육아의 장점과 부담
‘할머니 찬스’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가 가족의 손길 속에서 안정적인 돌봄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어린이집과 달리 가족 구성원과의 애착 형성이 가능하고, 아이가 낯선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조부모들은 아이의 성장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어 애착 관계를 더욱 깊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부모 육아에는 부담도 따른다. 육체적인 피로는 물론, 육아 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젊은 부모들은 현대적인 육아 방식을 따르고 싶어 하지만, 조부모 세대는 전통적인 방식에 익숙하다 보니 마찰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식이나 식습관, TV 시청 시간 등에 대한 의견 차이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조부모가 육아를 전담하게 되면 본인의 생활을 희생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자녀의 부탁을 거절하기 어려워 맡는 경우도 많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조부모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에이닷 perplexity


왜 조부모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을까?
맞벌이 부모가 조부모 찬스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육아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가 있지만 이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는 신청 과정이 복잡하고, 이용 시간도 제한적입니다. 또한 비용 부담도 상당하기 때문에 많은 가정에서 조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더 유리한 선택이 됩니다.
또한, 부모들이 퇴근 후 아이와 함께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조부모의 도움을 받으면 아이가 충분한 돌봄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근 후 7시 반에 집에 도착하면 저녁을 먹이고 씻기고 재우는 것만으로도 하루가 끝납니다. 부모로서 아이와 충분한 시간을 보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해결책은 없을까?
조부모 찬스를 쓰는 것이 현실적인 선택이지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육아 방안이 필요합니다. 정부 차원에서 돌봄 서비스 확대가 필요합니다. 현재 운영 중인 아이 돌봄 서비스의 시간 확대 및 이용 절차 간소화, 그리고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야간 보육 시설 확대가 필요합니다.
 
또한 기업들도 맞벌이 부모를 위한 유연 근무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 육아휴직 확대 등의 정책이 실질적으로 운영된다면 부모들이 육아와 직장 생활을 더 잘 병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부모들도 조부모 찬스를 남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조부모에게만 의존하기보다는 가능한 한 부모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조부모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퇴근 후 7시 반에 집에 도착하는 부모들에게 육아는 단순한 책임이 아니라 하루를 마무리하는 또 하나의 노동이 됩니다.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더라도 조부모의 도움이 절실한 이유는 육아 공백을 메울 대안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조부모 육아에 대한 부담도 크므로, 부모, 기업, 정부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모두가 행복한 육아 환경을 만들기 위해 현실적인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할머니 찬스"를 쓴다면 그 찬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와의 차이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업이나 정부 차원에서 유연 근무제, 재택근무, 시차 출근제 그리고 돌봄 서비스 등을 확대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아이의 성장 과정 가장 중요한  시기만이라도 워킹맘과 워킹대디의 부담을 들어줄 수 있는 정책을 폭넓게  실행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역동 뜰의 속삭임 ▷

반응형